귀농을 준비하고 계시군요!
귀농을 생각하는 당신께 절차 요약를 요약해볼게요
1. 귀농 결심 및 정보 수집
스스로에게 질문하기: 왜 귀농을 하고 싶은가? 어떤 작물을 재배하고 싶은가?
정보 탐색:
귀농지원센터, 농업기술센터, 농정청 홈페이지
유튜브, 블로그, 귀농 카페 등 실제 사례 확인
2. 귀농 교육 이수
귀농·귀촌 기본 교육 (최소 100시간)
대부분 시·군에서 제공하며, 정부지원사업 신청을 위한 필수 조건
전문 기술 교육
작물 선택 후 관련 농업기술 교육 이수 (예: 딸기 재배, 양봉, 스마트팜 등)
3. 지역 선정 및 현장 방문
희망 지역 농업기술센터 방문 → 토양, 기후, 유통 여건 확인
지역 주민들과 교류, 거주 및 농지 탐색
4. 귀농 계획 수립
어떤 작물을 언제부터 키울 것인지
예상 소득, 비용, 지원금 등 사업계획서 작성
5. 주택 및 농지 마련
임시 거처 → 농지 구매 or 임대
농지은행(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저렴하게 임대 가능
6. 창업 및 정착 지원사업 신청
귀농창업 및 주택지원사업
최대 3억(창업자금 3억, 주택자금 7천만 원)까지 저리 융자
신청 자격: 도시 거주 1년 이상 + 농촌 전입 5년 이내 + 교육 이수 등
지자체별 추가 지원: 장비 지원, 기술 컨설팅, 마을 정착금 등
7. 농업 경영 및 본격 정착
농지 계약, 사업 등록(농업경영체 등록)
작물 재배 시작, 판로 확보(로컬푸드, 마켓, 온라인 판매 등)
추가 팁
초기에는 소규모로 시작 → 실패 리스크 줄이기
정부 지원 사업 시 사업계획서가 매우 중요
가족과 충분한 상의 필수!
늦었다고 생각될때가 늦지 않습니다. 서두루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