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년 세종시 부동산 분위기 정리: 회복 조짐 보이는 이유는?

제임스정스 2025. 4. 11. 10:56
728x90

2025년 세종시 부동산 분위기 정리: 회복 조짐 보이는 이유는?

세종특별자치시는 한동안 부동산 시장의 ‘상승기 대장주’로 불렸지만, 2021년 이후 거래 침체와 가격 하락이 이어지며 조정기를 겪었습니다. 하지만 2025년 들어 다양한 정책적 변화와 청약 시장의 활기로 회복 조짐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2025년 4월 기준 세종 부동산 분위기와 향후 전망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세종시 부동산, 얼마나 떨어졌나?

최근 몇 년간 세종시 부동산은 전국에서 가장 가파른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해들6단지 전용 99㎡,
2020년 최고가 14억 원 → 2025년 6억 500만 원으로 반토막

2024년 말까지 거래량 극감

공동주택 공시가격, 2023년 전국 최고 상승 → 2024년 전국 최대 하락


하락 원인에는 공급 과잉, 투자 심리 위축, 정체된 행정수도 추진 등이 작용했습니다.




2025년 들어 분위기 반전, 왜?

하지만 2025년 1분기부터 분위기는 빠르게 전환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대통령 세종 집무실 이전 이슈

정부가 세종시 대통령 제2집무실 설치를 공식 검토 중이며, 행정수도 법제화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이는 실거주와 투자 수요에 모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합니다.

2. 거래량 회복세

2025년 3월 아파트 거래량 684건
전월 대비 84% 증가, 이는 심리 회복의 중요한 지표입니다.


3. 청약 시장 과열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무순위 청약
3가구 모집에 120만 명 신청, 청약 과열 양상


4. 5-1 생활권 기대감

‘양우내안애 아스펜’ 분양
분양가상한제 적용 + 전매제한 1년
‘스마트 국가시범도시’ 지정으로 미래 가치 상승 기대





세종시 부동산 전망, 지금 들어가도 될까?

세종시는 저점 통과 후 반등 초기 국면이라는 평가가 많습니다. 다만:

단기 급등은 부담 요소

실거주 목적이라면, 정책 흐름과 생활 인프라 고려 필요

투자 목적이라면, 입지·전매 조건 꼼꼼히 따져야 함


특히 5-1 생활권, 집무실 예정지 인근, 교육 중심지는 주목할 만한 핵심 지역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결론: 세종시 부동산, 아직 늦지 않았다

2025년 현재 세종시 부동산은 하락세에서 회복기로 전환 중입니다. 정부 정책의 뒷받침, 청약 인기, 거래량 증가 등 긍정적 신호가 많아졌지만, 지역별 양극화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진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생활권별 입지 분석과 중장기 시야 확보가 중요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