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25 최신] 노조 설립 이후 해야 할 일 총정리 | 단체교섭, 단체협약 체결, 사용자 대응법

제임스정스 2025. 4. 27. 09:08
728x90

[2025 최신] 노조 설립 이후 해야 할 일 총정리 | 단체교섭, 단체협약 체결, 사용자 대응법

키워드: 노조 설립 후 절차, 단체교섭 방법, 단체협약 체결, 사측 대응법, 노조 활동 가이드




■ 노조 설립 후 가장 먼저 해야 할 일

1. 사용자(회사)에 통보

설립 신고증을 받은 즉시 회사에 노조 설립 사실을 공식 통보합니다.

일반적으로 공문 형식으로 "노조 설립 통지서"를 보냅니다.


2. 교섭대표 노조 결정

만약 같은 사업장에 복수 노조가 있다면, 교섭대표 노조를 먼저 결정해야 합니다.


3. 단체교섭 요구

사용자(회사) 측에 "단체교섭 요구서"를 제출해 교섭 일정을 잡습니다.





■ 단체교섭이란?

목적: 임금, 근로시간, 복지, 인사 규칙 등 근로조건을 협상하기 위해 사용자와 협의

형식: 정식 서면으로 교섭을 요청하고, 정기/수시 교섭을 진행


> “노동조합은 단순 친목 모임이 아니라, 근로조건을 개선하는 공식 협상 기구다.”






■ 단체협약 체결 절차

1. 단체교섭 진행 →


2. 근로조건 합의 →


3. 단체협약 문서화 →


4. 조합원 찬반투표 →


5. 사용자와 공식 서명 및 체결



단체협약은 법적으로 사용자와 근로자 모두를 구속하는 '노사 계약서' 역할을 합니다.




■ 사측(회사) 대응 시 주의사항

부당노동행위 금지
– 노조를 이유로 해고, 감봉, 불이익 준다면 부당노동행위로 고소 가능

교섭거부 금지
– 사용자가 교섭 자체를 거부하거나 지연할 경우, 노동위원회에 "부당노동행위 구제 신청" 가능

노조 무력화 시도 감시
– 친회사 노조(어용노조) 만들기 시도, 회유, 협박이 감지되면 즉시 대응





■ 설립 초기 꿀팁

노조 전용 이메일, SNS 개설: 빠른 소통과 단결을 위해 필수

노조 전담 임원 선발: 교섭, 홍보, 복지 담당 등을 나누어 조직 정비

초기 교육 필수: 조합원 대상으로 노동법, 단체교섭 교육 실시





■ 관련 해시태그

#노조설립후#단체교섭방법#단체협약체결#노동조합교섭#노동3권보장#사측대응법#부당노동행위대응#노조운영가이드#티스토리SEO포스팅#2025노조정보#근로조건개선#노조활동팁#노동법알기

728x90